Korean News by ChatGPT!

(코로나19)유럽發 입국자 전수검사 한다더니, 1444명 몰리자 이틀만에 포기 본문

배준용(기자)의 기사 아카이브/코로나19 사태 (2020년 2월~)

(코로나19)유럽發 입국자 전수검사 한다더니, 1444명 몰리자 이틀만에 포기

WBDJOON 2020. 3. 25. 23:12

정부가 지난 22일 유럽발 입국자 전원에 대해 입국 때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 검사를 시작했지만, 이틀 만에 무증상 입국 내국인은 일단 귀가 후 3일 내에 진단 검사를 하는 것으로 바꿨다. 검사 인력이 부족해 검사가 지연되거나 대기 시설이 부족해 공항을 빠져나온 입국자가 뒤늦게 확진되는 등의 문제가 불거지자 검사 방침을 바꾼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4일 "오후 2시부터 유럽발 입국자 중 증상이 없는 내국인은 자택 근처 보건소에서 3일 내 진단 검사를 받도록 하겠다"고 했다. 22일 0시 전수 검사를 시작할 때는 코로나 의심 증상이 있으면 공항 내 검역소에서, 증상이 없는 입국자는 입국 심사를 마친 뒤 연수원 시설 등으로 이동해 검사를 받게 했다.

유럽발 입국자 전수 검사가 시작되자 공항 안팎에선 갖가지 문제가 터졌다. 하루 유럽발 입국자를 1200~1300명으로 예상하고 대기 시설을 마련했지만, 22일 유럽발 입국자는 1444명이었다. 공항에선 의심 증상자들이 한 공간에 장시간 섞여서 대기하기도 했다. 공항에서 검사받은 프랑스 유학생 2명은 격리 시설에 머무르지 않고 검역 당국 동의하에 부모의 차를 타고 강원 원주 자택으로 귀가한 뒤 확진 판정을 받는 일까지 생겼다.

이런 문제가 불거지자 24일 오전 정세균 국무총리는 담당자들을 질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도 "지난 이틀간 유럽발 입국자를 검사하는 과정이 원활하지만은 않았다"며 "우리 방역 역량이 감당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개선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자 이후 방대본은 황급히 수정된 검사 방침을 발표하며 "입국자가 늘고 의심 증상자도 늘어나는 것에 대비해 검역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의료계에선 "전문가들의 우려는 무시하다가 총리가 질책하자 황급히 대안을 내놨다"는 반응이 나왔다. 마상혁 경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은 "전수 검사 자체가 비효율적이고 국내에 필요한 방역 자원을 소모하기 때문에 의무 자가 격리 대상을 확대하고 의심 증상자만 검사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최근 해외 입국 확진자 중에서는 공항 검역이나 전수 검사에서 확인되지 않고 입국 후 뒤늦게 확진된 사례가 적지 않다. 검역과 입국 후 검사로는 무증상 감염자를 걸러낼 수 없다는 한계가 드러나는 것이다. 23일 확인된 해외 입국 확진자 27명 중 5명도 입국 후 국내에 머물다 뒤늦게 확진된 경우다. 한 감염병 전문가는 "정부가 전문가 의견을 무시하고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스스로 '방역 모범국'이라고 자화자찬하는 건 국민의 협조와 의료인들의 헌신을 가로채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