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S수괴
- 노트르담대성당화재
- 후안과이도
- 베네수엘라달러암거래
- 트럼프
- 베네수엘라위기
- 트럼프김정은
- 우한폐렴
- 신종코로나
- 홍콩시위
- 코로나
- 미중무역전쟁
- 알바그다디사망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미국
- 마두로대통령
- 우한코로나
- 베네수엘라석유
- 베네수엘라포퓰리즘
- 니콜라스마두로
- 트럼프대통령
- 베네수엘라사태
- 코로나19
- 도널드트럼프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베네수엘라마두로
- 베네수엘라경제
- 베네수엘라환전
- 위기경보심각
- 베네수엘라체험기
- Today
- Total
Korean News by ChatGPT!
북극곰 눈물에 '루돌프 눈물'까지...지구 온난화로 순록 20여년새 300만 마리 줄어 본문
북극곰 눈물에 '루돌프 눈물'까지...지구 온난화로 순록 20여년새 300만 마리 줄어
WBDJOON 2018. 12. 19. 10:48산타의 썰매를 끄는 '루돌프'의 주인공 순록(Reindeer·사진)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지방 빙하 감소로 북극곰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북극곰의 눈물'에 이어 또 하나의 북극권 동물인 순록도 생존이 위협받는 '루돌프의 눈물'이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5일(현지 시각)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발표한 '북극 보고서'에서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20여년 전 500만 마리에 달했던 순록이 지금은 210만 마리로 줄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했던 미 버지니아대 하워드 엡스타인 교수는 "북극 지표면 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두 배 빨리 상승하고 있어 순록의 생존 환경도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순록은 캐나다 북부와 알래스카, 시베리아와 북유럽 등 북극권에 사는 '노루아과' 동물로, 툰드라 지대 지표면에 붙어 있는 이끼와 지의류(地衣類·균과 조류생물의 복합체)를 먹고 산다.
하지만 온난화로 북극권 지방 기온이 오르면서 동토(凍土)라고 불리는 툰드라 지역에서 이끼류·지의류가 점점 사라지고, 순록은 먹을거리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엡스타인 교수는 "기온이 오르면 툰드라에는 줄기 식물이 늘고 이끼와 지의류가 자라는 지역은 줄어들게 된다"며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로 수십~수백 마리 무리 중 90%가 목숨을 잃는 사례도 여럿 있었다"고 말했다.
눈 대신 비 오는 날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순록은 지표면을 덮은 눈에 코를 파묻어 냄새로 먹이를 찾아 먹는다. 그런데 눈이 덮인 곳에 비가 내리고 나면 지표면이 단단한 얼음으로 변해 순록이 먹을 것을 찾기가 어려워진다.
2018년 12월19일자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19/2018121900195.html
'배준용(기자)의 기사 아카이브 > World News(국제뉴스 2018. 6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개토대왕함, 일본 해상초계기 레이더로 겨냥 논란 (0) | 2018.12.22 |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FT) 선정한 2018년 올해의 단어 '투키디데스의 함정'이란? (0) | 2018.12.21 |
친(親)트럼프 폭스뉴스, 창사이후 최고 시청률 (0) | 2018.12.14 |
관광용 케이블카, 중남미선 통근용 각광 (0) | 2018.12.11 |
멕시코, 좌파 오브라도르 대통령 취임 "신자유주의 뒤집겠다" (0) | 2018.12.03 |